KAIST, 박사 졸업생 1만 명 시대

페이지 정보

추적사건25시 작성일15-02-13 11:48 조회1,728회 댓글0건

본문

 
 
 
13일 학위수여식에서 1만 번째 박사 학위자 배출
 

KAIST 박사 졸업생이 1만 명을 넘었다. KAIST(총장 강성모)는 13일 류근철스포츠컴플렉스에서 열리는 2015년도 학위수여식에서 개교 44년 만에 1만 번째 박사 학위자를 배출한다. KAIST 제 1만호 박사 주인공은 생명과학과를 졸업하는 조선미(30) 박사로 전남과학고와 KAIST 학부를 졸업했다.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반응성 성상교세포의 GABA에 의한 알츠하이머 기억장애 연구(GABA from reactive astrocytes impairs learning and memory in Alzheimer disease)’(지도교수 김대수)다.

KAIST 생명과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게 될 조 박사는“어릴 적 꿈이었던 KAIST 박사, 그것도 1만 번째 박사라는 사실이 신기하고 감사하다”며 “아픈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로 더 건강한 세상을 만드는 뇌과학자가 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KAIST 박사 졸업생은 1978년 첫 해 2명이었으나 1987년 연 100명을 돌파했고, 이후 1994년 연 200명, 2000년 연 400명, 2015년 연 522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 왔다.

KAIST 1호 박사인 양동열 기계공학과 교수(기계공학 1978년 卒)는 1만 번째 박사 졸업생 배출에 대해 “1970년 초까지는 박사학위를 위해 해외로 유학을 가는 추세였다. 그러나 KAIST가 1973년에 석사과정, 1975년에 박사과정 학생들을 선발하기 시작하면서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며 “뛰어난 석학들이었던 KAIST 교수들의 연구실에 우수한 인재들이 모여 들었고, 잘 교육된 졸업생들이 배출되어 국내에 고급 과학기술 인력들을 공급하게 되었다. 이제는 해외 우수 인재들도 KAIST로 유학 오는 시대가 됐다”며 큰 의미를 부여했다.
 
박사졸업생 사회진출 현황 첫 분석…산업체>국내외대학>정부 출연연 공공기관>외국 순
KAIST는 박사 졸업생 1만 명 시대를 맞아 박사 졸업생 사회진출 현황을 처음으로 분석했다. 대상은 2015년 1월 말 현재 KAIST 총동문회가 보유한 박사 졸업생 자료 중 근무지 확인이 가능한 인원 모두 7400여 명이다. 우선 졸업생들의 근무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산업체 근무자가 3300여명으로 대상자의 45%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국내․외 대학 2300여명(31%), 정부 ․ 출연연구기관 ․ 공공기관 1600여명(21%), 외국(외국인) 200여명(3%) 순이었다.
 
산업체 근무자 3300여명은 10대 대기업 그룹에 48%가 근무하고 벤처 및 중견기업에 52%가 근무해 대기업  중견기업 등 산업체 전반에서 두루 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그룹 중에서는 삼성계열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LG계열, SK계열, 현대차계열, 포스코계열 순이었다.  10대 그룹에 근무하는 주요 동문으로는 전영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사장(전기및전자공학 1989년 卒),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신소재공학 1992년 卒), 이윤태 삼성전기 대표이사(전기및전자공학 1994년 卒), 박상훈 SK 하이닉스 고문(생명화학공학과 1983년 卒) 등이 있다.
 
최근에는 우람찬 LG전자 상무(전기및전자공학 2004년 卒)가 최연소 임원(36세)에 임명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벤처 및 중견기업 근무자 1700여명 중에는 340여명이 대표이사 직책이어서 박사 졸업생들이 벤처창업에도 적극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벤처기업을 창업한 동문으로는 정광춘 잉크테크 대표이사(화학 1985년 卒), 임윤철 (주)기술과가치 대표이사(경영공학 1988년 卒), 김영달 (주)아이디스 대표이사(전산학과 1998년 卒), 장현석 (주)세트렉아이 부사장(전기및전자 2000년 卒) 김철환 카이트창업가재단 이사장(생명화학공학 1997년 卒) 등이 있다.
 
국내․외 대학에 근무하는 KAIST 박사 졸업생은 2300여명으로 조사 대상자의 31%를 차지해 10명 중 3명은 대학에서 교수 혹은 연구요원으로 근무하며 기초, 응용과학 연구와 교육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KAIST, 전남대, 부산대, 경북대, 충남대 순이며 각각 40명 이상이 근무 중이다. 20명 이상이 근무하는 국내대학 수는 KAIST를 포함해 31개교로 파악됐다.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외국대학에 임용된 토종박사들도 눈에 띈다.
 
2003년 이후 외국대학에 교수로 임용된 토종박사 총 49명을 살펴보면 미국대학이 1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영국과 호주 대학에 각 6명, 싱가포르 대학에 5명이 임용됐다. 이밖에 캐나다 대학 3명, 덴마크, 중국, 말레이시아 대학에 각 2명, 스웨덴․오스트리아․일본․스위스․뉴질랜드․홍콩․필리핀에 각 1명이 임용돼 KAIST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해외대학에 근무하는 주요 동문으로는 美 하버드 메디컬 스쿨 윤석현 교수(물리학 1997년 졸), 美 브라운대학교 김미란 교수(생명과학 1998년 卒), 英 워릭대 정용만 교수(기계공학 1998년 卒)가 있다.
 
정부 ․ 출연연구기관 ․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박사 졸업생은 1600여 명으로 조사대상자의 21%를 차지해 국가기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기관별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국방과학연구소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뒤를 이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IST․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자력안전기술연구원․한국전력․한국화학연구원․한국생명공학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각각 30명 이상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88개 기관에도 총 3백여 명이 근무 중이다.
 
정부기관별로는 특허청이 가장 많았으며 국방부, 미래창조과학부, 방위사업청 등 11개 정부기관에 100여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강성모 총장은 “KAIST의 박사급 고급 인력양성과 배출이 우리나라 산업화와 국가발전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라며 “지난 44년간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이공계 교육혁신을 선도하며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인재를 양성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13일 학위수여식에서는 1만 번째 박사 학위자를 포함해 박사 522명, 석사 1241명, 학사 915명 등 총 2678명이 학위를 받는다. 이에 따라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 이래 박사 1만403명, 석사 2만6402명, 학사 1만4607명 등 총 5만1412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