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ile_get_contents(/var/www/html/data/cache/URI/4.9.3,4ab4bd52c8c812831ed4b3ee8391b418e2d9f4a2,1.ser): failed to open stream: Permission denied in /var/www/html/plugin/htmlpurifier/HTMLPurifier.standalone.php on line 15531

충남 농기원, 킹스베리 비롯해 써니베리, 두리향, 하이베리, 비타베리 본격 출하

페이지 정보

편집국 작성일21-12-17 20:27 조회702회 댓글0건

본문


충남 농기원, 킹스베리 비롯해 써니베리, 두리향, 하이베리, 비타베리 본격 출하

- 기존 설향‧매향 품종 단점 보완…소비자 맞춤형으로 인기 몰이 -

충남을 넘어 앞으로 국내를 대표하게 될 신품종 딸기 5총사가 독특한 향은 물론 새로운 맛으로 소비자들과 만난다. 17일 도 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에 따르면 ‘킹스베리’, ‘써니베리’, ‘두리향’, ‘하이베리’ 그리고 ‘비타베리’까지 신품종 딸기 5종이 시장에 본격 출하되기 시작했다.

c3d8141d3b8658afd11ff2260f5eb702_1639740221_0451.jpg
두리향

신품종 딸기의 공통점은 기존 농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는 ‘설향’과 ‘매향’ 품종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각 품종마다 특징을 갖췄다는데 있다.

먼저 ‘킹스베리’는 2009년 ‘아키히메’와 ‘NS001309’를 인공교배해 탄생한 품종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계통육성 및 특성 조사 과정을 거치고 2016년 최종 선발됐다.

c3d8141d3b8658afd11ff2260f5eb702_1639740262_9164.jpg

킹스베리

‘킹스베리’는 기존 재배품종보다 과실이 크고 은은한 복숭아향과 과즙이 풍부해 대과성 딸기를 선호하는 내수와 수출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과실 경도는 10.5g/mm2, 당도는 9.8°Brix, 평균과중은 29.1g이다. ‘두리향’은 2013년 ‘숙향’과 ‘매향’을 인공교배해 2017년 최종 선발됐으며, 과즙이 풍부한데다 단맛과 독특한 향이 일품이어서 새로운 맛으로 소비자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도 11.6g/mm2, 당도 10.7°Brix, 평균과중 20g으로 대과성에 속한다.

c3d8141d3b8658afd11ff2260f5eb702_1639740342_6795.jpg

써니베리

‘두리향’과 마찬가지로 2013년 ‘숙향’과 ‘매향’을 인공교배해 육성에 성공한 ‘써니베리’는 연속출뢰성이 매향보다 우수하고, 기형과 발생이 적다는 장점외에도 단단하고 저장성이 우수해 케이크 장식용으로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경도 15.8g/mm2, 당도 10.5°Brix, 평균과중은 15.0g이다.

c3d8141d3b8658afd11ff2260f5eb702_1639740377_3819.jpg
하이베리

‘하이베리’는 ‘NS071608’ 과 ‘대왕’을 인공교배한 품종으로, 수출용으로 개발한 만큼 고온기 저장성이 우수하고 풍미가 좋은 것이 특징이다.

경도 15.3g/mm2, 당도 10.1°Brix, 평균과중 16.7g이다. ‘비타베리’는 ‘NS001309’와 ‘대왕’을 인공교배했으며, 이름처럼 비타민C 함유량이 100g당 77.1mg으로 ‘설향’보다 34.4% 높고, 새콤달콤한 맛과 향으로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c3d8141d3b8658afd11ff2260f5eb702_1639740422_6948.jpg
비타베리

경도 12.2g/mm2, 당도 11.1°Brix, 평균과중 15.9g이다. 딸기연구소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맞춤형 신품종 5종이 시장에서 자리를 잡게 되면 ‘설향’ 단일 품종이 선점하는 수출시장과 내수시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현숙 딸기연구소 육종팀장은 “다양한 맛과 향, 기능성을 갖춘 신품종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에 기대가 크다”며 “소비자 맞춤형 신품종 개발과 보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 딸기 재배면적은 5,683ha로, 생산액 1조 5000억 원에 달하는 원예산업을 선도하는 소득 작목이자 신선 농산물 수출의 효자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