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ile_get_contents(/var/www/html/data/cache/URI/4.9.3,4ab4bd52c8c812831ed4b3ee8391b418e2d9f4a2,1.ser): failed to open stream: Permission denied in /var/www/html/plugin/htmlpurifier/HTMLPurifier.standalone.php on line 15531

빚더미에 추락하는 한국의 중산층

페이지 정보

경제팀 작성일16-12-20 21:55 조회1,387회 댓글0건

본문

빚더미에 추락하는 한국의 중산층

우리 경제의 허리경제계층인 중산층이 빚수렁에 빠져들고 있다. 소득 3분위의 평균 부채는 1년 전보다 11.9%나 급증했다. 전셋값 상승과 저금리가 맞물리며 빚 내서 집을 산중산층이 대출금 부담에 허덕이고 있는 셈이다. 특히 40, 50대 가구주의 평균부채가 8000만원을 넘어서고, 자영업자의 부채액은 1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은 제자리걸음이다. 향후 금리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흐름에 비춰볼 때 가계의 빚부담은 날로 늘어날 수밖에 없고 중산층 붕괴도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일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소득 3분위 가구의 평균 부채는 5330만원으로, 1년 전보다 568만원 증가했다. 3분위 가구의 부채 증가율은 11.9%, 전체 평균(6.4%)의 두 배에 달한다. 3분위에 이어 5분위 9.4%, 4분위 3.2% 증가했으며 1·2분위의 경우 각각 0.4%, 4.7%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중산층(3분위)이 부동산 투자 등에 몰리면서 가계부채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ehd.jpg 



빚이 있는 가구 중 1000~3000만원 미만의 부채를 보유한 가구가 가장 많았다. 1000~3000만원 미만 부채 보유 가구는 19.2%였으며, 1000만원 미만은 18.6%로 집계됐다. 3000~5000만원 미만은 11.7%, 5000~7000만원 미만은 10%로 조사됐다. 부채 보유액이 3억원 이상인 가구는 7.2%였다. 가계 부채의 70.4%는 금융부채가 차지했다. 금융부채는 4868만원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하며 전체 부채 상승폭을 높였다. 금융부채는 20143.6% 상승한 이후 20155.9%, 올해 7.5%로 증가폭을 키우고 있다.

금융부채에서 담보대출은 3847만원, 신용대출은 692만원으로 전체 부채 중 각각 57.8%10.4%를 차지했다. 임대보증금은 1968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3.8% 많아졌다. 부채는 크게 늘었지만 소득 증가폭은 크지 않았다. 지난해 가구 평균 소득은 4883만원으로 전년 대비 2.4% 늘었다. 금액으로 약 100만원가량 증가한 액수다. 전체 가구의 25%1000만원에서 3000만원 사이의 소득을 버는 데 그쳤다. 특히 30세 미만이 가구주로 있는 경우 유일하게 연간 소득이 감소했다. 30세 미만 가구의 평균 소득은 3282만원으로, 전년(3406만원) 대비 124만원(3.7%) 줄었다.

가계 부채는 전 연령대에서 모두 증가했지만 특히 40대의 증가폭이 컸다. 40대 가구주의 부채는 지난해 7160만원에서 올해 8017만원으로 12% 늘어나며 전 연령대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40대 가구주의 부채가 8000만원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0대 가구주의 부채(5877만원)7.6%, 30세 미만(1593만원)6.8% 증가했다. 50대 가구주의 경우 증가율은 5.6%였지만, 부채 규모에서는 8385만원으로 가장 컸다. 60세 이상은 전년보다 1.7% 증가한 4926만원을 기록했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의 부채 규모가 가장 컸다. 자영업자 부채는 전년보다 3.9% 늘어 증가폭은 작았지만 규모는 9812만원으로 1억원에 육박했다. 무직과 같은 기타 가구주의 부채가 3110만원에서 3479만원으로 11.9% 늘었고 상용근로자 가구주 부채(7508만원)8.3%, 임시·일용근로자(2705만원)4% 증가했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1년 후에 빚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 비중은 31.6%인 데 반해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응답은 58.2%였다.

가계부채가 증가하면서 가계의 재무건전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가계부채의 위험도를 뜻하는 DSR(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26.6%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25%선을 넘었다. 가계가 100만원을 벌 경우 266000원을 부채를 갚는 데 쓰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40대 가구주와 자영업자의 DSR는 각각 30.2%, 35.5%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일자리 창출, 복지투자 확대 등 소득증대 및 분배 개선에 노력을 강화하고,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집단대출 등 취약부문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적사건25시 경제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