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ile_get_contents(/var/www/html/data/cache/URI/4.9.3,4ab4bd52c8c812831ed4b3ee8391b418e2d9f4a2,1.ser): failed to open stream: Permission denied in /var/www/html/plugin/htmlpurifier/HTMLPurifier.standalone.php on line 15531

전경련 대대적 쇄신안 없이는 해체 불가피

페이지 정보

경제팀 작성일16-12-27 21:20 조회1,384회 댓글0건

본문

전경련 대대적 쇄신안 없이는 해체 불가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창립 55주년 만에 '재계를 대표하는 경제단체'로서 위상을 잃게 됐다. 전경련은 내년 2월 연례총회에서 쇄신안을 발표하고 회원사 신뢰를 회복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274대 그룹 중 한 곳인 LG그룹이 탈퇴를 공식 천명한 데다 삼성·SK그룹 역시 '사실상 탈퇴'와 다름없어 재계의 맏형이란 위상 회복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KT 역시 이날 탈퇴 신청을 했다고 밝히면서 전경련의 몰락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재계에서는 "주요 그룹 이탈과 쇄신안 부재가 겹치면서 전경련이 애매한 중소 이익단체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염려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27일 현재까지 LGKT를 제외하고는 공식적으로 탈퇴 의사를 전달해 온 곳은 없다"고 해명했다. 삼성·SK그룹은 공식적인 탈퇴를 선언하기보다 회비 납부 거부, 활동 불참 등을 통해 간접적인 방식을 취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현대차그룹은 아직 탈퇴 여부 등에 대한 방침을 확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20대 그룹은 2월 총회에서 전경련이 내놓는 '쇄신안'까지는 들어본 뒤 방침을 정하겠다고 했다. 그렇다고 상황이 전경련에 우호적인 것은 아니다. 10대 그룹의 한 임원은 "대부분 기업이 대놓고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라서 '쇄신안을 듣고 결정한다'고 말하는 것 아니겠냐"며 분위기를 귀띔했다. 사실상 '탈퇴'로 마음을 굳혀가고 있는 곳이 많을 것이란 전언이다. 여기에는 '최순실 국정농단' 이후 커지고 있는 전경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영향이 컸다.

재계에서는 비교적 전경련에 우호적이던 'LG그룹'이 가장 먼저 탈퇴를 선언한 것 역시 부정적인 여론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이달 초 국정조사에서도 "친목단체로 남는 것이 좋겠다"는 소신 발언을 내놨다. 이 때문에 LG그룹이 4대 그룹 중 가장 늦게 탈퇴할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재계 관계자는 "쇄신 방안 마련을 기대했으나 기대에 못 미치는 지지부진한 수준이라 오히려 가장 먼저 탈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qads.jpg  

전경련 예산의 대부분을 담당해온 4대 그룹의 이탈은 전경련 위상의 급전직하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 지난해 기준으로 4대 그룹은 전경련 회비 수입(492억원)70%에 달하는 350억원을 부담한 것으로 추정된다. 4대 그룹 없이는 전경련이 유지되는 게 불가능한 셈이다. 전경련 내·외부에서 현재 거론되는 '환골탈태 수준의 쇄신안'이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가장 많이 거론되는 헤리티지재단과 같은 연구재단으로 변모하는 것이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중심의 경제연구소로 변신하는 것은 재원 마련이 문제다. 헤리티지재단은 지난해 수입 9950만달러의 74%가 개인 회원들의 회비로 걷히는 구조다. 한경연은 전경련과 운명 공동체다. 삼성·SK·LG그룹 등에서는 "전경련 회비를 내지 않는다는 의미에는 한경연 회비도 내지 않는다는 뜻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 등 타 경제단체의 전경련 흡수 역시 가능성이 낮다. 현재 전경련 규모를 감당할 수 있는 단체는 대한상의뿐이지만 상의 측 고위 관계자들은 "역할이 다른 전경련을 통합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강하게 부인했다. 아직도 갚아야 할 3200억여 원에 달하는 전경련 사옥 관련 부채 등도 타 경제단체 입장에서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경제외교를 위한 전문기관으로 재탄생하는 것도 가능한 옵션이다. 민간 차원의 경제외교는 현재 전경련·대한상의·무역협회 등이 나눠 맡고 있다. 특히 전경련은 미국·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민간 경제외교를 담당해 왔다. 민간 경제외교 전담기구로 재탄생하기 위해서도 4대 그룹 참여를 통한 대표성 확보가 필요하다. 결국 해체 수준의 변신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전경련에는 중견그룹 일부가 참여하는 '어정쩡한 이익단체' 역할밖에 남아 있지 않은 셈이다.

30대 그룹의 한 임원은 "주요 그룹이야 자체적으로 정부와 협의할 수 있을 정도로 역량이 되지만 20대 이하에서는 대변인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다만 전경련이 파격적인 쇄신안을 내놓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비관적인 의견이 많다. 전경련에서 회원 의견 수렴을 위해 간담회를 개최했지만 참여 회원사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추적사건25시 경제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