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군 전체예산의 10-20% 사이버전에 투입
페이지 정보
작성자권병찬 작성일 15-05-29 15:21본문
북한, 군 전체 예산의 10∼20% 사이버전에 투입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북한 해커들은 중요한 사회기반 시설을 공격하고 심지어 사람을 죽일 수 있다고 영국 BBC 방송이 28일 한 탈북자의 증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탈북자 출신 교수인 김흥광씨는 북한에는 약 6000명의 훈련받은 군 해커들이 활동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더 심각해지기 전에 국제기구들이 막아야 한다고 했다. 김씨는 2004년 탈북하기 전까지 함흥 컴퓨터기술 대학에서 20년 간 컴퓨터과학을 가르쳤다.
그는 대학에서 해킹 기술을 가르치지 않았지만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군에 의해 차출돼 북한의 악명높은 해커 부대로 알려진 121국에서 고난도 해킹 기술을 배웠다. "차출된 학생들은 사이버 전사로서 김정은의 지시를 받아 임무를 완수하는 것을 즐기고 자부심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김씨는 말했다. 1998년 김정일의 지시 하에 설립된 121국은 정찰총국 산하 전자정찰국 사이버전지도국(121지도국)으로 확대된 후 당과 군의 다른 사이버전 조직을 흡수하면서 전략사이버사령부로 다시 개편됐다.
121국은 중국을 거점으로 두고 광범위하게 수많은 해킹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많은 사이버 공격이 한국의 발전소, 은행과 같은 사회기반시설에 대해 이뤄지고 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 조직의 규모는 상당히 증가했으며 북한 정권의 군(軍) 전체 예산의 10~20%는 '온라인 작전'에 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씨는 북한이 다른 나라를 괴롭히는 이유는 사이버전(戰) 능력을 갖췄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며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무기를 이용하여 사람을 죽이고 도시를 파괴하는 군사적 공격과 비슷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북한은 기간시설을 파괴할 목적으로 제작된 컴퓨터바이러스인 스턱스넷에 기반을 둔 '말웨어(컴퓨터시스템 파괴 소프트웨어)'를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김씨는 설명했다. 올해 초 한국 정부가 북한의 원전 해킹 시도를 비판한 것과 관련, 김씨는 "비록 원자력발전소가 북한의 사이버공격으로 위태롭게 되지는 않았지만 만약 원자로를 통제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공격을 받았다면 그 결과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고 광범위한 피해를 초래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북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인 마틴 윌리엄스는 "이론적으로는 북한의 해커가 그러한 해킹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윌리엄스는 2013년 한국의 방송사 3곳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지적하며 "국가를 혼란에 빠뜨리는 시도"라며 "만약 TV 방송이 중단됐다면 사람들은 패닉에 빠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막을 수 있도록 '액션'이 필요하다면서 "북한의 사이버 테러리즘의 증거를 수집하고 이를 유엔 인권이사회와 UN 기구에 보고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식으로 북한이 계속 피해를 입힌다면 ICANN(국제 인터넷주소 관리기구)에서 북한이 도메인(.kp)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시켜야 한다"고 했다.
권병찬 기자